고이케 히로시 - 운이 풀리는 말버릇 / 아직도 안 읽어봤다고?
-> 고이케 히로시라는 일본 사람이 쓴 자기계발서입니다.
-> 책 제목을 보면, 바로 눈치가 오죠?
-> 긍정적인 말버릇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입니다.
-> 아무튼, 서론은 여기까지하고, 빠르게 본론으로 들어가보죠.
//
1. 우주님은 전지전능하시다.
-> 책의 저자는 우주님이라고 표현하지만, 이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사람도 있을겁니다.
-> 그렇다면, 우주 = 자신의 뇌라고 생각하면, 받아들이는데, 거부감이 적을거예요.
-> 어쨋든, 우리의 뇌는 엄청난 능력을 갖고 있거든요.
-> 우리가 소원을 빌면, 모든지 이뤄줄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요.
-> 근데, 소원이 제대로 접수될려면, 특정 규칙을 지켜야합니다.
//
2. 소원을 빌기 전, 조심해야할점!
-> 우리의 뇌는 스윗가이가 아닙니다.
-> 개떡 같이 말하면, 개떡 같이 알아들어요.
-> 그렇기에, 찰떡 같이 말해야합니다.
-> 만약에, 부정적인거를 외치면, 그것 또한 다 이뤄주십니다.
//
3. 소원 제대로 비는 방법
a. 무조건, 긍정적으로 얘기해라.
-> 부정적 단어가 하나도 없어야합니다.
b. 소원을 현재시제 or 완료형으로 말해야한다.
-> 미래형으로 말하면 안됩니다.
-> 그리고, 구체적인 기한을 설정하면 더욱 좋습니다.. (ex. 2024년까지 oo가 됐습니다)
c. 번뜩이는 생각 및 좋은 정보는 곧바로 실천해라.
-> 하다못해, idea가 생각나면, 메모라도 해놓고, 다시 떠올려지도록 하세요.
-> 잠깐, 스쳐가는 생각 or 정보는 금방 잊어버려요.
-> 당장 안하면, 바로 까먹기 때문에, 바로바로 실천해주세요.
d. 구체적으로 얘기해라.
-> 추상적인 단어 or 뜬구름 잡는 얘기를 해서는 안됩니다.
-> 우리의 뇌는 개떡같이 말하면 개떡같이 알아듣기 때문이예요.
-> 그렇기에, 최대한 구체적으로 말해야합니다..(= 찰떡 같이 말해라)
e. 성취 후, 감정을 떠올려라.
-> 당신이 떠올린 목표가 이뤄졌다고 생각해봐요.
-> 거기서 느껴지는, 감정이 분명히 존재할겁니다.
-> 뿌듯함. 기쁨. 자유로움. 설렘. 떨림 등등 모든지 다 좋아요.
-> 감정을 엮어서, 소원을 빈다면, 더욱더 실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//
4. 나쁜 소원 예시
a 예시) 여자친구랑 헤어지기 싫습니다.
-> 문제점: 헤어지다. 싫다. 라는 부정의 단어가 들어갑니다.
-> 우리의 뇌는 부정적 단어에 focus를 맞추는 경향이 강하거든요.
b 예시) 100억원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.
-> 문제점: 싶습니다.는 미래형이다.
-> 문제점: 구체적인 기한설정이 없어요.
d 예시) 돈이 많았으면, 좋겠다.
-> 문제점: 돈이 많다. 라는 명확한 기준점이 없습니다.
-> 문제점: 꿈꾸는듯한 추상적인 느낌으로 소원을 빌었다는 문제점이 있어요.
e 예시) 귀여운 얼굴 + 치마가 잘 어울리고 + 생머리 여자친구를 사귑니다.
-> 문제점: 소원을 빌때, 감정이 없습니다. (감정을 엮어야해요.)
//
5. 말버릇이 될때까지, 반복해라.
-> 소원을 형식에 맞춰서, 빌었다고 가정해봅시다.
-> 소원을 계속적으로 반복 및 노출시켜줘야합니다.
-> 우리의 뇌는 처음에 인지하는 과정을 거치거든요.
-> 이후, 해당 단어를 제대로 인식하기 시작해요.
-> 마지막으로, 그거를 실현시키기 위해서, 뇌가 제대로 활동하기 시작합니다.
-> 그렇기에, 소원이 말버릇으로 자동적으로 튀어나올 때까지, 반복하는게 중요해요.
//
6. 마지막으로, 감사하는 삶을 살아라.
-> 감사합니다. 를 외쳐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.
-> 뇌는 부정적인 단어에 많이 노출되면, 스트레스를 받아하고, 뇌의 기능이 저하되거든요.
-> 그렇기에, 긍정적인 말 = 감사합니다를 자주 들려줘야합니다.
-> 감사합니다. 라는 말을 들으면, 뇌가 행복한 감정을 느끼면서,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시작해요.
-> 책의 저자인 고이케 히로시에 따르면, 이는 뇌를 깔끔하게 정화시키는 작업이라고 합니다.
-> 뇌가 긍정에 자주 노출될수록,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상승해서, 당신에게 도움이 될겁니다.
-> 이로인해, 당신의 소원이 이뤄지는 이유이기도 하죠.
//
끝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