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. 11. 26. 09:00ㆍ경제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Ubc4cpWsEFE
-> 셜록현준이라는 유튜버 분이 올리신, 패권 다툼에 대한것.
-> 1편과 2편으로 나뉘어져있고, 약 40분짜리 동영상이다.
-> 바쁜 현대인을 위해서 최대한 요약해주도록 하겠다.(= 조회수 빨아먹겠다.)
-> 약 10분 안으로 읽을 수 있도록.
//
1. 과거) 패권국에 있어서, 중요한 요소는 공간이다.
-> 공간이라는 자체가 돈을 의미한다. ( 왜인지는 밑에서 알아볼것)
-> 제국은 돈을 잘 벌어야, 제국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.
-> 공간이라고 하면, 해양의 공간과 육지의 공간 2가지 의미가 존재한다.
-> 중국과 미국 둘다 육지라는 공간은 잘 쓰고 있지만.
-> 해양의 공간을 활용하는데 있어서, 미국이 비교우위에 서있다.
-> 해당 이유는 2번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.
//
2. 미국은 해양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는데 탁월하다.
* 해양적 관점1 (미국)
-> 미국은 흔히들 말하는 방장 씹사기 맵이다.
-> 위의 지도를 보면, 굵직한 강라인이 총 4개가 존재한다.
-> 미국은 남북으로도 잘 뚫려져있고, 동서쪽으로도 해상길이 뚫려져있다.
-> 전국에 해상길을 이용해서, 빠르게 물자를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.
-> 해양길은 육상길에 비해서, 더 많은 물건들을 낮은 비용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//
* 해양적 관점2 (미국)
-> 해당 지도는 미국을 중심으로 바라본, 세계지도.
-> 미국은 왼쪽으로 넓은 바닷길이 열려있어서, 아시아로 진출하기가 쉽다.
-> 오른쪽으로도 넓은 바닷길이 열려져있어서, 유럽으로 접근하기가 용이하다.
-> 그리고, 해양에 있어서, 군사적으로 충돌할 국가가 사실상 전무하다.
-> 이는, 세계 무역에 있어서, 엄청난 메리트이다.
-> 오늘날에 있어서, 해상무역은 매우 의미가 크다.
-> 세계 무역량의 85%가 해상으로 이뤄짐.
//
3. 그에 반해, 중국은 다소 아쉽다.
* 해양적 관점1 (중국)
-> 해당 지도는 중국의 주요 강을 보여주는 자료.
-> 중국은 동서방향으로 해양의 길이 잘 열려져있지만.
-> 남북으로 이어주는 길은 미국에 비해 다소 아쉽다.
-> 이는, 제국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이기도 하다. (미국에 비해서)
//
* 해양적 관점2 (중국)
-> 해당 지도는, 중국을 중심으로 바라본 세계지도이다.
-> 중국이 세계무대로 진출하기 위해서,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데
-> 한국과 일본을 뚫고 나가는 경우 (1번)
-> 대만을 뚫고 나가는 경우 (2번)
-> 마지막으로, 동남아 쪽으로 나아가는 경우 (3번)
-> 총 3가지가 존재한다.
-> 근데, 1번길 + 2번길에 나라들은 대표적인 친미국가이다.
-> 그러면, 남은 경우는 3번) 세계 무대로 나아갈려면, 좁은 해협을 통과해야하는 단점이 있다.
-> 해협이 좁으면, 협공 당하기도 쉽고, 매복의 위험도 있다.
-> 이는, 중국이 패권을 도전하는데 있어서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.
//
4. 새로운 공간) 인터넷 공간에 대해서
-> 기술이 발달하면서,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공간이 창출됐다.
-> 그것은, 바로 인터넷 공간.
-> 인터넷 공간에 있어서도, 중국은 미국에게 상당히 불리한 구조이다.
-> 인터넷 정보 및 자료의 약 60% 정도가 영어로 쓰여진 자료이다.
-> 반대로, 중국의 경우) 약 2%를 차지하고 있다.
-> 중국의 인구가 15억명이고, 미국의 인구가 3억명인거를 고려하면, 상당한 차이.
//
5. 미래의 공간) 우주 공간에 대해서
-> 항공기술이 발전하면서, 이제는 우주공간이라는 시대가 열렸다.
-> 우주 공간에 있어서도, 미국은 중국에 비해 우위에 서있다.
-> 이를 보여주는게, 민간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우주산업에 진출함. ( 테슬라. 아마존 등등)
-> 그리고, 아직은 우주 공간에서, 새로운 가치창출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.
-> 1번에서 얘기했듯이, 공간이라는건 제국의 돈을 의미한다.
-> 육상) 육지 무역으로 돈을 벌고, 효율적으로 수송.
-> 해상) 해상 무역으로 돈을 벌고, 효율적으로 수송.
-> 우주) 막대한 자본 투자 대비,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 아직은 없다. (= 비효율적이다)
//
6. 기축통화적 관점
-> 제국의 화폐가,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화폐가 된다면, 이를 기축통화라고 부른다.
-> 기축통화에 등극하면, 통화를 자유롭게 찍어내도, 전세계적 수요가 있기 때문에
-> 탄력적으로 통화정책을 사용할 수가 있다.
-> 이러한 장점 덕분에, 경제가 신흥국 or 경쟁국들에 비해, 빠르게 회복하는 특징이 존재한다.
-> 하지만, 어느 시점에 도달하면, 기축통화의 메리트가 떨어지는 시점에 도달한다.
-> 세계의 무역에 있어서, 더이상 기존 기축통화를 쓰지 않고, 새로운 화폐가 대안으로 떠오른다고 한다.
-> 도전국이 세계 무역에 있어서, 무역을 먼저 장악하고.
-> 도전국의 화폐가 더욱더 많이 쓰이면서, 기축통화의 지위가 넘어가는 역사가 공통적으로 존재했다고 함.
-> 미국의 화폐 지위가 과거와 같진 않지만.
-> 중국에 비하면, 그 규모적 덩치가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. (위의 사진 참고)
//
7. 마지막으로, 군사력적 관점
-> 해당 사진은 미국과 중국의 군사력적 차이를 잘 보여주는 자료.
-> 미국과 중국의 국방비 지출 규모는 약 3배차이. (미국이 더 많다.)
-> 공군력도 약 3~4배 정도 차이. (미국이 우위)
-> 해군력도 약 3~4배 차이가 존재. (미국이 우위)
-> 그리고, 무엇보다 미국은 전쟁에 있어서, 실전경험 및 데이터가 많다.
-> 반대로, 중국은 약 70년동안 전쟁을 치룬 경험이 없다.
-> 최신식으로 군사력을 무장한지도 약 10년 밖에 안됨.
-> 질적+ 양적 + 실전에 있어서, 압도적인 차이가 존재한다.
//
셜록현준님의 유튜브 내용을 아주 심플한 버전으로 알아봤다.
끝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트럼프 임기 1년차) 환율이 급락하는 이유" (달러 1250~1300원 예상) (1) | 2025.03.07 |
---|---|
"국민연금 고갈, 생각보다 훨씬 심각한 이유 (출산율 현실적으로 생각하자)" (1) | 2025.03.07 |
1분만에 돈버는 방법, 자신과 하이파이브를 해라! (0) | 2022.11.24 |